본문 바로가기
글쓰는 주인장

2심무죄, 끝이아니다?- 대법원 상고와 파기환송의 모든것!

by 방울이네집 2025. 3. 26.
반응형
이재명 대표의 2심 모두 무죄가 판결되었습니다. 

형사 재판에서 1심에서 유죄, 2심에서 무죄가 나왔다면 “이제 끝난 거 아냐?”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검찰이 상고하면 대법원(3심) 에서 다시 판단을 받게 됩니다. 2심 무죄 후 진행되는 대법원 절차와 파기환송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출마 자격, 피선거권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까지 정리해드립니다.

이재명대표 2심 무죄 확정

대법원 3심은 어떤 역활을 하는가? 

 


대법원은 사실심이 아니라 법률심입니다. 즉, 1심·2심에서 인정된 사실은 그대로 두고, 그 사실에 적용한 법 해석이나 판단이 옳았는지를 따지는 곳입니다.


✅ "피고인이 실제로 그 말을 했는가"는 보지 않고,
✅ "그 말을 허위사실 공표죄로 처벌할 수 있는가"를 따짐


 

 

2심무죄, 대법원에서는 어떤 결과가 가능한가? 


1. 상고 기각 → 2심 무죄 확정
대법원이 2심 판단에 문제가 없다고 보면 그대로 무죄 확정이 경우 피선거권 유지, 출마 가능


2. 파기환송 → 다시 고등법원으로
대법원이 법리적 오류를 인정하면 2심 판결을 깨고 다시 돌려보냄고등법원에서 다시 재판 (새 재판부가 열릴 수도 있음)


3.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
기존 판례와 충돌할 경우 대법관 전원이 참여하는 전원합의체로 넘어가기도 함

 

 

실제로 적용해보면? 



1심: 유죄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2심: 무죄 

▶ 검찰이 상고할 경우 → 대법원이 해당 발언을 법적으로 어떻게 볼 것인가가 핵심 쟁점

 

 

파기환송이란? 


★ 파기환송이란? 
하급심 판결에 법리적 오류가 있다고 판단해, 사건을 다시 하급심(주로 고등법원)으로 돌려보내는 것


✅파기환송심은 새로운 재판부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음
✅검찰과 변호인 모두 새로운 입장 제출 가능
✅ 경우에 따라 결과가 뒤집히기도 함

 

 

피선거권과의 관계는? 


공직선거법상 피선거권 제한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발생합니다:
벌금 100만 원 이상 또는 징역형(실형·집행유예)이 최종 확정될 경우에만


▶ 2심에서 무죄라도, 대법원에서 뒤집히면 피선거권 박탈 가능성 있음
▶ 따라서 무죄라고 해도 대법원 판결 전까지는 완전히 끝난 게 아님!


 

 

마무리 정리 


✅2심에서 무죄가 나와도 검찰이 상고하면 대법원에서 다시 법률 판단

✅대법원은 사실 판단이 아니라 법 해석의 오류 여부를 심사

✅대법원이 2심 판결을 깨면 파기환송, 즉 다시 재판

✅최종 확정되기 전까지는 피선거권, 의원직 등에 변화 없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