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이제 대법원(3심)으로 향하면서, 정치권과 법조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1심과 2심을 거친 핵심 쟁점과 함께, 대법원에서 다뤄질 주요 포인트와 향후 전망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공직선거법 허위사실 공표 혐의
이재명 대표는 2022년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발언으로 기소되었습니다.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처장 관련 발언
방송 인터뷰에서 "김문기를 모른다"고 발언한 것이 허위사실이라는 검찰 주장
✅백현동 용도변경 관련 발언
국정감사에서 "국토부의 협박으로 용도변경을 했다"는 발언이 허위라는 혐의
1심과 2심 결과 요약
✅1심 (2024.11.15)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선고 → 의원직 상실형
✅2심 (2025.3.26 )
오후 2시선고 → 결과는 3시이후 무죄
2심에서 무죄가 나오면 재판은 끝나는 걸까? <다음글에서 자세히>
✅대법원 3심(2025.6.26일이전 예정)
대법원 3심
대법원은 사실심이 아닌 법률심으로, 1·2심에서 나온 법률 적용의 타당성을 심사합니다.
📌 3심에서 가능한 결과 시나리오
1. 상고 기각 (하급심 확정)
2심 결과가 유지되어 형 확정 → 의원직 상실 및 피선거권 제한
2. 파기환송
대법원이 하급심 판단에 법리 오류 인정 시 사건을 다시 2심으로 돌림 → 재심리 가능성
3. 무죄 취지 파기 또는 감형
허위성 인정은 어려우며 무죄 혹은 벌금 100만원 미만 판단 → 의원직 유지 가능
최종 대법원 선고 일정은 언제?
공직선거법 제270조의2에 따라, 선거범죄 상고심은 항소심 선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 선고가 원칙입니다.
✅항소심 선고일: 2025년 3월 26일
✅대법원 선고일: 2025년 6월 26일까지 이뤄질 가능성이 높음
같이보면 좋은글 추천
이재명 대표 1심 판결문 정리
2024년 11월 15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34부(재판장 한성진)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하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
1.our2023.com
➡️ <이재명> 대표 선거법 위반 1심 판결- 결과 정리 <+ 2심, 3심 예정일>
<이재명> 대표 선거법 위반 1심 판결- 결과 정리 <+ 2심, 3심 예정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관련2024년 11월 15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1심 판결이 선고되었습니다. 이번 판결은 향후 이재명 대표의 정치적 거취와 민주당 내
1.our2023.com
반응형
'글쓰는 주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대표>2심판결, 백현동 발언 무죄인 이유는? (0) | 2025.03.26 |
---|---|
2심무죄, 끝이아니다?- 대법원 상고와 파기환송의 모든것! (0) | 2025.03.26 |
<이재명 대표> 2심무죄확정! 모든 재판은 끝나는 걸까? -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5.03.26 |
<이재명대표> 2심 무죄인 이유는? (0) | 2025.03.26 |
<이재명 대표> 3심 확전 전까지 대통령 출마 가능한가? (0) | 2025.03.26 |
이재명 대표 1심 판결문 정리 (1) | 2025.03.26 |
<이재명> 대표 선거법 위반 1심 판결- 결과 정리 <+ 2심, 3심 예정일> (0) | 2025.03.25 |
마은혁 후보자의 <인민노련> 단체는 왜 이슈인가? (1) | 2025.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