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민의힘4

이재명후보 수락 연설 전문 (2) - 지금 바로가기 🏛️ 이재명 후보 수락 연설 (2부) 23년 전 오늘, 노무현 대통령이 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날이었습니다.노무현 후보는 불신과 분열의 시대를 끝내고, 개혁과 통합의 시대로 가자고 선언했습니다.2002년 4월 27일이 그랬던 것처럼, 오늘 역시 새로운 시대의 서막이 될 것입니다.내란의 어둠을 걷어내고 희망의 새벽을 여는 날, 통치자의 시대를 끝내고 진정한 주권자의 나라로 기록될 것입니다.후손들은 오늘을 기억할 것입니다.어떤 고난도 기회로 만들 수 있다는 용기, 내일은 오늘보다 더 나을 것이라는 희망을 품게 될 것입니다.그 위대한 새출발의 역사, 변화를 함께 만들어 가시겠습니까?국민이 이 나라의 주인임을 행동과 실천으로 증명해 주시겠습니까?어려운 길이지만 반드시 해낼 수 있습니다.총칼과 장갑차를 맨.. 2025. 4. 27.
탄핵인용 <조기대선>언제? 유력한 대선일과 선거일정 자세히 알아보기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탄핵 인용 결정을 내렸습니다.이에 따라 대통령직은 즉시 상실되었고, 60일 이내에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됩니다 유력한 대선일은? ✅헌법 및 공직선거법에 따라 탄핵 확정일로부터 60일 이내 대선 실시✅한덕수 국무총리(대통령 권한대행)가 선거일 공고 예정 ✅6월 3일이 될 경우, 6월 4일부터 새 대통령 임기 시작 ※ 6월 3일은 ‘전국연합학력평가’일이라 교육 일정과의 충돌 우려 →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 높음 2017년 사례✔️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 2017년 5월 9일 조기 대선✔️이번에도 유사한 절차와 일정으로 진행✔️사전투표·재외투표 등은 법정 시한 내 빠르게 이뤄짐 2017년, 박근혜대통령 탄핵선고 " data-og-descripti.. 2025. 4. 4.
윤대통령 탄핵심판 주요 탄핵사유 <다섯 가지 핵심> 2025년 4월,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사건에 대해 심리 중이며, 이와 관련된 주요 쟁점들이 국민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마지막 결정의날인 오늘 2025년 4월 4일 11시 마지막 선고만 남겨논 상태입니다. 본 글은 해당 사건과 관련된 다섯 가지 주요 쟁점을 헌법적, 법률적 관점에서 정리한 것으로, 사건의 본질과 법리적 판단 기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비상계엄 선포의 위법 위헌 가능성 2024년 12월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쟁점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절차적 요건 충족 여부헌법 제77조 및 비상계엄법상 요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가 핵심입니다. 계엄 선포는 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긴급한 사유가 있을 때 가능하며, 국무회.. 2025. 4. 4.
<한덕수> 기각의견 자세히 읽어보기 한덕수 국무총리 기각의견 2025년 3월 24일, 헌법재판소는 국무총리 한덕수에 대한 탄핵심판을 기각했습니다. 재판관 9인 중 5명(문형배, 이미선, 김형두, 정정미, 김복형)이 기각 의견을 내며, 다수의견으로 채택된 것입니다.그렇다면 이들이 내린 ‘기각’ 판단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탄핵 사유별로 기각의견이 어떻게 정리되었는지 자세히 살펴봅니다. 재판관의 의견 전체 읽어보기 1. 문형배, 이미선, 김형두, 정정미 의견2. 김복형 의견가. 재판관 문형배, 재판관 이미선, 재판관 김형두, 재판관 정정미의 기각의견(1) 헌법 또는 법률 위반 여부(가) 특별검사 임명 법률안에 대한 재의요구권 행사 관련○ 대통령의 법률안 재의요구권 행사에 대한 폭넓은 판단 재량, 국무총리 및 국무회의의 헌법상 지위.. 2025.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