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블로그의 새로운 주소!

👉 여기로 방문하세요! 🚀
글쓰는 주인장

3.1절 만세운동 화성 제암리사건을 기억하자!

by 방울이네집 2025. 2. 27.
반응형

화성시 제암리사건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교회에서 일어난 참혹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일본군이 3.1운동에 참여한 지역 주민들을 집단으로 학살한 사건, 바로 제암리 학살사건 입니다. 이사건은 3.1운동 후 독립을 향한 열망이 더욱 커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일본의 잔혹성을 알리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남아 있습니다. 

제암리 학살사건에 관련해서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 

⬇️⬇️⬇️

 

📢 이 블로그의 새로운 주소!

👉 여기로 방문하세요! 🚀

 

 

제암리 학살사건이 일어난 이유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1919년 3월 1일, 전국적으로 3.1운동이 확산되면서,화성 지역에서도 3월 24일~28일 동안 만세운동이 적극적으로 전개되었습니다.

특히, 발안장터(현재의 화성시 향남읍)와 제암리에서 대규모 독립운동이 진행되었고,일본 헌병과 경찰들은 이를 진압하려 했으나, 주민들의 저항이 강력했습니다.

이에 일본군은 화성 지역을 ‘독립운동이 강한 지역’으로 판단하고,본격적인 탄압과 보복을 감행하게 됩니다.

 

 

 

일어난 과정은? 

 

 

① 일본군이 주민들을 교회로 유인

② 교회에 가둔 후, 방화

③ 남은 주민들에게도 학살 자행

 


4월 15일, 일본군은 화성 지역의 독립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제암리 주민들을 교회로 모이게 했습니다. "모두 모이면 용서를 해주겠다.""앞으로는 독립운동을 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하면 살려주겠다."일본군은 제암리 주민들에게 거짓말을 하며, 교회로 유인했습니다.



일본군은 제암리 감리교회로 29명의 남성 주민들을 강제로 몰아넣고 문을 잠금  교회 밖에서 총격을 가하기 시작하며, 출구를 막고 불을 지름 불길이 치솟는 교회 안에서 주민들은 처참하게 학살당했습니다.



불타는 교회 안에서 빠져나온 주민들에게도 일본군은 무차별 사격, 교회 밖에 있던 여성과 아이들마저도 잔인하게 학살  결과적으로 30여 명의 마을 주민이 희생되었고, 마을 전체가 불에 타버렸습니다.


 

 

희생자와 피해상황은? 

 

✔️제암리 교회학살 29명

✔️교회 밖 총살 다수

✔️마을 방화 40여채

✔️여성과 어린이 희생 미상


이후에도 일본군은 살아남은 주민들을 감시하고 탄압을 이어갔습니다. 마을 전체는 불에탔고, 주만들이 학살되면서, 제암리는 폐허가 되었습니다. 

 

 

 

 

사건의 역사적 의미

 

① 일본 제국주의의 잔혹성 세계에 알림

② 독립운동의 새로운 전환점


제암리 학살 이후, 조선 전역에서 독립운동이 더욱 거세졌습니다.특히, 무장 독립운동(의열단, 광복군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독립운동가들은 단순한 만세운동에서 무장투쟁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기리는 공간 기억하기 

 


제암리 3.1운동 순국기념관 (화성시 제암면 소재)


✔ 제암리 학살사건의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기념관이 조성되었습니다.
✔ 당시 불타버린 교회를 재건하여, 역사 교육 공간으로 활용
✔ 3.1절마다 추모식과 학술행사가 열림


📍 방문 정보
위치: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관람 시간: 매일 09:00 ~ 18:00 (월요일 휴관)입장료: 무료역사적 의미가 깊은 곳이므로, 3.1절에는 많은 방문객이 찾고 있습니다.


화성시는 현재 구로 분리하는 준비를 하고있어 화성시 서쪽은 3.1운동의 본고장의 역사를 이은 만세구로 명칭이 거론되고있다. 


아래 자세한 정보
⬇️⬇️⬇️

 

▶️2025년 화성시 3.1절 행사 - 자세히 알아보기

 

2025년 화성시 3.1절 행사 - 자세히 알아보기

3.1절 화성시 행사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2025년 3월 1일, 제106주년 3.1절을 맞아 화성시에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립니다.3.1절은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중요한 역사적 순간을 기념하는 날로,

1.our2023.com

 

 

반응형

댓글